이미지 벡터파일인 SVG파일은 파워포인트 2019 버전 이상에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전 버전인 2016에서는 편집할 수 없다는 말도 됩니다. 이 SVG파일을 EMF파일로 변경하면 파워포인트 2016 버전에서도 편집이 가능합니다. SVG파일을 EMF파일로 변경한 후 파워포인트에서 수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VG( Scalable Vector Graphics ) 파일이란?
확장 가능한 벡터 그래픽스의 약자로, XML(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 기반의 벡터 이미지 형식입니다. 주로 웹에서 아이콘, 로고, 그래프, 일러스트 등 다양한 그래픽 요소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EMF(Enhanced Metafile Format) 파일이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한 벡터 기반 그래픽 파일 형식입니다. 주로 Windows 운영체제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고 교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정 전 후 비교 보기
구글에서 "위키미디어 커먼스"를 검색합니다.
위키미디어 커먼스를 클릭합니다.
위키미디어 커먼스 홈페이지에 접속되면 검색창에 "korea map"을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파일 유형 > svg를 클릭합니다.
아래로 드래그하여 우리나라 지도를 선택합니다.(우리나라 지도인데 울릉도와 독도가 없는 지도입니다)
오른쪽 하단에 있는 "자세한 내용"을 클릭합니다.
하단에 있는 "원본 파일"을 클릭합니다.
지도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이번에는 구글에서 "svg를 emf로 변환"을 검색합니다.
SVG EMF변환 (온라인 무료)를 클릭합니다.
Convertio 사이트에 접속되었습니다. "파일 선택"을 클릭합니다.
위키미디어 커먼스에서 다운로드한 지도 SVG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를 클릭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변환"을 클릭합니다.
SVG파일이 EMF파일로 변환 완료되었습니다.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파워포인트 2016을 실행하여 제목(부제목)을 입력하십시오 문구를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삽입 > 그림 > 그림 삽입에서 EMF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한 파일을 선택한 후 "삽입"을 클릭합니다.
지도 그림을 한번 클릭하여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단추 누른 후 그룹화 > "그룹 해제"를 클릭합니다.
그룹이 아닌 가져온 그림이라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예"를 클릭합니다.
지도가 광역권으로 분할이 되었습니다. 원하는 광역자치단체를 클릭하여 선택한 다음 홈 > 도형 채우기에서 원하는 색을 선택합니다.
용도에 맞게 색상을 변경하여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지도에 울릉도 하고 독도가 없는 것이 아쉽네요.
'IT·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냅킨(Napkin) AI로 인포그래픽 만들기 (0) | 2025.03.30 |
---|---|
사진의 왜곡 현상에 대한 고찰 (0) | 2025.03.26 |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해야 하는 이유와 핵심 장점 (1) | 2025.03.08 |
1인 기업의 생산성 극대화 하는 필수 AI도구 추천 (3) | 2025.03.04 |
스케치업에 대하여 (0) | 2025.02.26 |